목록PJT/공통 PJT (16)
Record
글솜씨가 부족해서 내용이 중구난방.. 1등했닼!! 우선 결과적으로 반별 상위 2개팀에 선정되어 발표회에 진출했다! 진출팀 공지도 늦었을 뿐더러 발표 준비 시간도 부족했고, 발표를 안하는 인원들이 각자 할 일 할 때 발표 진출팀들은 늦은 시간까지 남아서 고생이 너무 많았다.. 다른 팀이 너무 잘해서 어차피 2등이면 3등하고 발표 안하는게 더 편했을 수도… 공통프로젝트가 시작되고 팀빌딩 후에 팀원들과 만나고 각각의 목표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눴을 때, 1학기에 성적이나 프로젝트 우수상을 받지 못했던 것에 대한 아쉬움이 매우 컸었기에 나는 최소 우수 프로젝트에 선정됐으면 좋겠다고 말했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지치기도 했고, 점점 자신감도 떨어져서 후회하지 않도록 성공적으로 프로젝트를 마무리하는 것에 의의를..
Nginx 설정할 때 참고한 사이트 https://jaehyeon48.github.io/nginx/configure-nginx-on-ubuntu-2004/ 위에 보고 참고해서 진행했음 https://ko.linux-console.net/?p=721#gsc.tab=0 위와 비슷함 https://growing-nyang.tistory.com/75 http://{공인ip}:(80) 로 연결 시, 3000번 포트로 잘 연결되지만, Domain Name으로 접속했을 때 접속이 안되는 문제 해결할 것. (Done) SSL (Use certbot) 설정 (Done) 인프라 남은 할 일 SpringBoot Container 자동 배포
Nginx 를 지우고 다시 설치했다. Web Server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었다. react build된 것은 정적 리소스라서 이를 실행시키려면 Web Server인 Nginx가 필요했던 것이다. 결국에 Docker로 react container를 구축할 때 nginx가 필요했던 것이다
React를 Docker Container 로 띄운 뒤에 공인 IP에 접속했을 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게 오늘의 목표 하지만 Jenkins Container를 잘못 설정해서 지운 뒤에 다시 설치하였다. 모든 설정을 마친 뒤에도 80번 포트로 접속했을 때 3000번 포트인 react container가 나오지 않아서 nginx.conf 파일 설정에 문제가 있는 것을 코치님께서 알려주셨다. 금일 안으로 해결하고 자동 배포까지 완료한 후에 빠르게 백엔드 파트로 넘어가서 REST API, JPA, JWT 등 마무리 해야겠다.
Jenkins Docker Container 안에서 빌드 후 Dockerizing 까지 성공했으나, console log에는 Spring Docker 가 실행되고 있었지만 ec2 ubuntu servet에서 docker ps 를 했을 때 도커가 실행되고 있지 않았다. 해당 문제는 도커 안에서 도커를 새로 만들 경우 생기는 오류라고 코치님께서 말씀해주셨다. 해당 url을 참고해서 해결해보자. https://www.skyer9.pe.kr/wordpress/?p=3382 DinD, DooD 개념을 학습하자 https://velog.io/@inhwa1025/Docker-컨테이너-내부에서-Docker-사용
HeidiSQL을 이용해서 로컬 환경에서도 Ubuntu Server에 Docker로 띄운 MySQL 서버에 접속해보자. Plugin http could not be loaded 오류 해결 https:// 를 제거 출처 : https://www.heidisql.com/forum.php?t=27104 이후 HeidiSQL 에서 dummy 데이터를 생성 CREATE TABLE user ( id INT AUTO_INCREMENT PRIMARY KEY, username VARCHAR(50) NOT NULL, email VARCHAR(100) NOT NULL, age INT, created_at TIMESTAMP DEFAULT CURRENT_TIMESTAMP ); INSERT INTO user (username, ..
오늘은 월요일까지인 다우기술 자소서와 프로젝트 때 아직 진행하지 못했던 것들을 진행할 예정 ubuntu 서버에 도커로 Mysql 다운로드 (Done) EC2에 MySQL과 같은 DB를 설치하는 경우는 별로 없음. AWS RDS라는 DB 시스템이 이미 존재하기 때문 EC2 자체가 서버의 목적만을 수행하고, RDS는 DB의 역할만 하기 때문에 리소스 사용 측면에서 유리 하지만 사이드 프로젝트 및 토이 프로젝트 등 서비스 트래픽과 리소스 사용량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RDS를 사용하지 않고, EC2 내부에 Server와 DB를 세팅하고 사용. 추후에 현직 개발자가 되었을 때 RDS를 사용할 수도 있으니 추후에 학습하도록 하자. 출처 : https://lucas-owner.tistory.com/47 ubuntu 서..
해당 Container bash 로 접근하고 싶을 때 쓰는 명령어 $ docker exec -it jenkins /bin/bash # 탈출 시 $ exit 드디어 jenkins 설정이 됐다!!!!!!!!!!!!!! 문제점은 GitLab Connection을 미리 작성해놓고 소스 코드 관리에서 Git 을 중복(?)으로 설정해서 생기는 오류 같았다.. GitLab Connection을 해제하고 소스 코드 관리에서 Git을 설정하니까 해결됐다 ㅠㅠ Credential은 Username with password을 이용했고 username는 gitlab email을 등록했고, password에는 gitlab repository에서 발행한 token 값을 등록해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