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JT/공통 PJT

23.07.18

윤프라이즈 2023. 7. 19. 00:03
  • application.properties vs application.yml

    • 결론적으로는 어떤 것을 사용해도 아무 문제가 없고, 기본적인 구조는 비슷하기 때문에 편한 것을 사용하면 되겠다. 개인적으로는 yml을 사용하는 것이 더 구조를 파악하기 쉽고, 중복되는 코드가 줄어들기 때문에 yml을 사용하는 것이 더 좋다고 생각한다.
    • 주의할 점은 properties와 yml을 함께 사용하면 properties 파일이 우선순위가 높아 yml 파일에서 설정한 내용이 덮어씌워질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되도록이면 둘 중 한쪽만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 h2 hibernate? 어렵군

  • 오늘은 프로젝트 폴더 구조를 조금 변경했다. dto, repository를 한 곳에 묶고 req, res, service 폴더를 한 곳에 묶었다. dao, dto, service, controller 등 기능과 구조를 다시 한 번 파악하고 정리한 후에 진행하는게 나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 또한 오늘은 JPA 프레임워크를 사용해서 간단하게 템플릿 코드를 작성했는데 다른 테이블과 연관관계가 있을 때 어떤 annotation을 사용해야 하는지 검색해볼 때쯤 시간이 끝나버렸다,, 그래도 코치님이 오셔서 간단하게 설명도 해주시고 모르는 것이 있으면 언제든 물어보라는 말에 조금은 위안이 되었다.

  • 그리고 사실 배포는 크게 중요하지 않으니 후순위로 두라는 조언을 해주셨다.

  • 내일은 JPA와 프로젝트 구조를 완벽히 이해하고 나누는 것이 목표이다.